카테고리 없음

두근두근 한국사 1~2권 세트

rorebs 2023. 11. 17. 05:54

아이가 5학년이 올라가면서 한국사를 배워서 학교에서 추천해서 구매했어요. 내용도 알차고 사진이랑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어요.단어의 뜻도 쉽게 되어있어요. 읽을수록 더 읽고 싶어져요. 역사를쉽게 배울 수 있네요. 학교에서 추천하길래 재미도 없고 딱딱할 것같았는데 읽어보니 역사가 마구마구 좋아지네요. 짧고 간단해서 설명이 부족해 보였는데 너무 자세해요.정말 추천합니다.

이제 한국사도 지식보다 감수성입니다! 우리 아이 역사를 시작하는 새로운 방법! 이번에 개정된 초등 사회 교과서는 유물 사진이나 그림 같은 비주얼이 대폭 강화되었어요. 초등 역사 학습이 사진과 그림을 통해 역사적인 내용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이 변화하고 있거든요. 이전 한국사 책들에서는 비주얼 자료들을 텍스트로 된 역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보조 자료로 활용되었다면 두근두근 한국사 에서는 비주얼을 주인공으로 해서 역사를 술술 풀어 갑니다. 그림을 하나하나 뜯어보거나, 사진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면서 다양한 상상을 하고, 즐기다 보면 어느새 역사 속으로 푹 빠져들 거예요. 억지로 외운 지식은 금방 잊히지만 이미지로 상상하고, 생각을 나누다 보면 역사가 머리에 쏙쏙 들어온답니다! 또한 역사에서 중요한 것은 질문입니다. 책을 펴고 이건 어떻게 보이지? 뭐 하는 걸까? 이 사람은 어떤 기분일까? 같은 질문을 던져 보세요. 좀 더 깊이 생각해 보고 왜 그랬을까? 만일 그게 아니라면?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면 고정관념을 깨고 자기 눈으로 새롭게 역사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거예요. 역사는 외우는 과목이 아니에요. 의문을 갖고 다르게 생각하다 보면 자기만의 역사 해석력이 생기지요. 이러한 역사와의 대화를 통해 ‘역사 감수성’을 키울 수 있어요. 역사 감수성은 그 시대 사람들의 삶에 대한 깊은 공감입니다. 유물의 이름을 외우거나 시대 순서대로 사건을 나열하는 것보다 더욱 소중한 경험이 될 거예요.

[1권]

1부 선사 시대부터 후삼국 시대까지
이 땅에 역사가 시작되다
1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이 땅의 주인은 누구?
2 왜 돌멩이가 박물관에 있지? 주먹 도끼
3 왜 빗살무늬를 그렸을까? 빗살무늬 토기
4 왜 바위에 그림을 새겼을까? 반구대 암각화
5 나는 무엇에 쓰는 물건일까? 농경문 청동기
6 커다란 돌멩이를 왜 세웠을까? 고인돌
7 왜 철을 베고 누웠을까? 대성동 고분군
8 세상에서 제일 큰 돌책? 광개토 대왕릉비
9 왜 신하를 죽여야 했을까? 이차돈 순교비
10 문화유산 재미있게 보는 법 삼국 시대 대표 문화유산
11 역사 기록은 모두 진실일까? 낙화암
12 저곳에 누가 있을까? 석굴암
13 발해는 어떤 나라일까? 정효 공주 무덤

2부 고려 시대
외세에 맞서 문화와 예술을 꽃피우다
14 벌거벗은 사람은 누굴까? 왕건 동상
15 그림 속 사람들이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척경입비도
16 인생 역전은 가능했을까? 아집도 대련
17 많이많이 태어나라 청자 상감동화포도동자문 조롱박모양 주전자와 받침
18 전쟁 중에 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을까? 팔만대장경
19 고려 불화에는 어떤 비밀이 있을까? 아미타 삼존도
20 두 사람 사이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공민왕 사당

3부 조선 시대 전기에서 중기까지
유교를 바탕으로 나라의 기틀을 세우다
21 왕이 제사를 지낸 까닭은? 종묘제례
22 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세계 지도를 그렸을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3 고려의 충신 정몽주, 조선의 충신이 된 까닭은? 오륜행실도
24 왕세자도 입학식을 했다고? 왕세자입학도첩
25 세종은 왜 한글을 만들었을까? 훈민정음
26 세숫대야일까, 솥단지일까? 앙부일구
27 지폐 속 주인공은 누구일까? 신사임당
28 전쟁을 그림에 담다 동래부 순절도
29 조선 통신사가 일본으로 간 까닭은? 조선 통신사
30 삼전도비에 왜 낙서를 했을까? 삼전도비

[2권]

1부 조선 시대 후기
변화하는 세계에 발맞추기
1 무얼 팔러 가는 걸까? 행상
2 어떻게 다시 지었을까? 화성
3 풍속화는 왜 그렸을까? 점심
4 이렇게 커다란 지도를 어떻게 만들었을까? 대동여지도
5 다른 시대에 같은 깃발을 단 까닭은? 신미양요
6 가마를 탄 사람은 누구일까? 전봉준
7 독립신문에는 어떤 기사가 실렸을까? 독립신문
8 전기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전차(신문물)
9 안중근 의사는 병을 고치는 의사였을까? 안중근
10 무엇을 하는 사람들일까? 의병

2부 일제 강점기
식민지 땅에서 고통스럽게 살아가다

11 이곳은 어디일까? 조선 물산 공진회
12 이 사람들은 왜 거리로 나왔을까? 3·1 운동
13 무엇을 기념하려고 찍었을까? 대한민국 임시 정부
14 벽면 가득 붙어 있는 것은 무엇일까? 서대문 형무소
15 어린이날은 왜 만들었을까? 어린이날
16 높은 지붕에 왜 올라갔을까? 강주룡 시위
17 금메달을 따고도 슬퍼한 까닭은? 손기정
18 일본과 조선이 하나라고? 내선일체

3부 대한민국
우리가 딛고 사는 바로 지금, 바로 여기

19 해방의 기쁨 뒤에 온 슬픔 광복
20 다시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한국 전쟁
21 초등학생들이 거리로 나온 까닭은? 4·19 혁명
22 길거리에서 치마 길이와 머리 길이를 잰 까닭은? 독재
23 왜 대통령에게 편지를 썼을까? 전태일
24 아이는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5·18 민주화 운동
25 올림픽에서 함께 입장한 까닭은? 통일
26 광장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든 까닭은? 광장
27 수요일마다 모여 무슨 말을 외쳤을까? 수요 시위
28 독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나요? 독도
29 제가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을까요?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30 역사의 주인공은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