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라카미 하루키 장편 소설<양을 쫓는 모험>(http://blog.yes24.com/document/11339459, http://blog.yes24.com/document/11342918) 을 읽고 하루키의 다음 작품을 선택했다. 아직 읽지 않은 책, 여전히 많다, 중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가 바로 다음 작품이기에 주저없이 구입. 그리고 일주일 간 해외 출장이기에 비행기에서 읽으려고 가방에 챙겼다.10시간 정도 이동 중에 책을 보고 영화도 보고 졸기도 하면서 읽다보니 도착지에 도착해서 비행기가 멈췄을 때 1권의 책장을 덮을 수 있었다. 이 소설이 하루키의 소설이라니. 엄청 신선하다. (하루키가 아닌 다른 사람이었다면 그다지였을 수도 있다.) 하루키가 SF 적인 이야기를 썼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물론 책을 읽다보면 이 책 이후 종종 등장하는 우물, 굴 등이 나오고, 이야기의 문체는 여전히 하루키지만, 글의 성격이 기존과는 그리고 그 이후와도 다르기 때문에 새롭게 느껴졌다. (사실 그 이후에 대해서는 아직 읽지 않은 책들이 더 있기에 확언할 수는 없다.)책은 2가지 이야기가 번갈이 전개된다. 하나는 세계의 끝에 관한 이야기, 또 하나는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 관한 이야기. 어라 책 제목과 같네.2권에서 어떻게 2개의 이야기가 통합될지, 아니면 계속 따로 갈지 모르겠지만, 1권을 읽다보면 약간의 암시 같은 글이 여기저기서 드러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문장들.아마도 그 벽은 지금 나의 한정된 인생을 암시하고 있는 게 틀림없다고 나는 생각했다. 고요하다는 것은 소리 뽑기를 한 후 후유증이다. 주변의 풍경이 흐릿한 것은 내 상상력이 파괴적인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를 부르고 있는 것은 아마도 그 핑크빛 투피스를 입은 아가씨일 것이다. (pp.296-297)2권에서 전개될 내용이 무척이나 궁금하다. 특히 "마음"이란 것이 꽤 중요한 것 같은데, 과연 어떨지.
하루키의 작가적 상상력이 극에 달한 작품. 특이한 구상과 소설 내내 흐르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기발한 발상으로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소설로서의 규모나 깊이는 말 할 것도 없고 SF적 요소까지 가미된 참으로 보기 드문 걸작이다. 작품의 완성도, 문학성, 재미까지 모든 분야에서 최고다.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TV ... 스크린에 중독되어 가는 아이들, 이대로 괜찮은가? 우리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TV 등 스크린 미디어가 넘쳐 나는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다. 오늘날의 아이들은 더 이상 밖에서 술래잡기 놀이를 하거나 좋은 책에 빠져 지내지 않는다. 그 대신 스크린 앞에 몇 시간이고 꼼짝없이 앉아 있다. 그러다 아이들은 스크린 중독이라는 위험에 빠질 위기에 놓인다. 그런데 부모들은 이런 아이들을 바르게 지도하기보다

mogjdn.tistory.com

 

꿈 스케치

가장 중요한 것은 즐기는 것이다. 진지하게 꿈을 찾아가는 것도 좋지만 너무 심각해지지는 말아야 한다. 그냥 친구와 부담없이 수다를 떨듯이 즐기면서 하면 딱 좋다. 마치 재미 삼아 성격 테스트나 심리 테스트를 하듯이 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좋다. 잘 몰랐던 자신의 여러 가지 모습도 알게 되고 꿈을 찾아가는 과정이 신기하게 느껴질 것이다. 호기심을 갖고 즐기면서 꿈을 찾아보자.저자는 26세의 어느 날, 소중한 자신의 인생을 남들이 하라는 대로 살아왔다는

uieb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