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요즘 IT업계의 화두라면 단연 오픈소스, 오픈스택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두의 중심에는 리눅스가 있다. 이책은 리눅스배포판 가운데에서도 인터페이스가 가장 화려하고 직관적인 우분투를 기준으로 한다. 우분투는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리눅스배포판임에도 불구하는 나는 우분투를 그리 많이 사용해보지는 않았었다. 주로 레드햇기반의 CentOS나 Redhat, Fedora를 위주로 사용했었기때문에 이책을 통해 우분투라는 리눅스 배포판은 다른 배포판에 비해 얼마나 더 좋은 기능이 있고 왜 그리 많은 사람들이 우분투에 열광하는지에대해 궁금해서 이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우선 구매하고나서 이 책에 대한 나의 만족도는 80%이상이다. 그만큼 우분투에 대해 현재시점(2015년)에서 새로운 기능은 물론 모든 리눅스의 기본기능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습이나 실습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책으로 리눅스를 학습하기 전에 여러종류의 리눅스 관련 도서를 통해 리눅스를 학습한 점도 이책을 통해 리눅스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을 수도 있지만 내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리눅스초보자분들이(물론 나도 아직 초보자이지만 ㅎㅎ 나보다 더 초보이신분들이) 이책을 통해 리눅스를 공부해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내가 생각하는 이책의 장점은 그동안 꾸준히 리눅스를 공부해오면서 접근해보지도 않았던 새로운 기능들 즉, 퍼펫이나 바쿨라 등의 기능에 대해 새롭게 알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주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사용해보지는 않고 들어보기만 했던 프로젝트 버전관리도구인 Git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게되어 그동안의 리눅스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덧붙일 수 있었던 계기가 내가 생각하는 이책의 장점이 아니였나싶다. 그외에도 요즘 IT업계에서 각광받는 가상시스템 구축하기와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과정 실습하기, 리눅스 시스템 관리 자동화하기 등 리눅스를 활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고급기능들이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고 단순히 눈으로 보는것이 아닌 하나씩 따라하는 실습을 통해 우분투리눅스의 다양한 기능을 맛볼 수 있다는 장점도 빼놓을 수 없다. 항상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리눅스는 알면알수록 그 기능이 정말 무궁무진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알아야 할 것도 많고 공부해야 할 부분도 상당히 많다. 그동안 리눅스를 공부하고 그리고 실무에서 리눅스를 경험해보면서 느낀점은 리눅스를 잘하기 위해서는 절대 학습용으로만 그치면 안된다는 것이다. 리눅스에 대한 기본학습을 전제로 실무에서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트러블슈팅능력을 길러야만 고급리눅서의 길로 들어설 수 있기때문이다. 고급리눅서를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이책이 리눅스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출 수 있는 도구가 되어줄 것이라 생각되며 단순히 리눅스의 길을 걷지않더라도 리눅스가 무엇인지 그냥 맛만 보고자하는 사람에게는 우분투리눅스라는 OS가 윈도우와 비교해보아도 전혀 손색이 없을정도로 화려하고 클라이언트용으로 사용하기에 손색이 없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라 생각된다. 부디 이 책을 통해 IT업계의 핵폭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에 대해 한발짝 다가서는 계기가 되었으면하는 바램이다.
수십 수백 대의 대규모 시스템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터미널을 통해 시스템을 일일이 제어한다면 시스템 관리자는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랄 것이다. 현명한 시스템 관리자는 어떻게 할까?
다수의 서버에 우분투를 자동 설치하고, 시스템 관리 도구인 퍼펫(puppet)으로 복잡한 시스템 설정을 자동화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퍼펫 설정 파일들은 버전 관리 도구인 깃(Git)을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협업이 필요할 때는 원격 저장소인 깃허브(GitHub)를 이용한다. 시스템 관리자에게 가장 중요한 업무인 백업 역시 오픈소스 네트워크 백업 도구 바쿨라(Bacula)를 이용하면 관리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스케줄에 따라 체계적으로 백업해준다.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은 우분투 설치와 커맨드라인 기초 명령부터 네트워크 서버 구축, 시스템 관리 자동화까지 쉽고 친절하게 안내한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여러분은 부지런한 관리자에서 현명한 관리자로 거듭날 것이다.
머리말
추천사
이 책의 구성
Q&A
〈첫째마당〉 리눅스 다루기, 텍스트 환경에 익숙해지자
1장. 우분투 시작하기
1.1 시스템 관리자에게 필요한 우분투 사용 방법 익히기
- 우분투가 무엇인가요?
- 우분투는 어떻게 다루죠?
1.2 우분투로 서비스 제공하기
- 우분투로 무엇을 합니까?
- 우분투 네트워크 서비스
1.3 시스템 관리 자동화하기
- 시스템 자동화란 무엇인가요?
- 어떤 작업을 자동화합니까?
2장. 우분투 설치하기
2.1 우분투 설치 전 준비하기
- 시스템 정보 모으기
- 자료 저장하기
- 설치 공간 계획하기
- 어떤 우분투를 설치해야 하나요?
- 우분투 내려받기
2.2 우분투 설치하기
- 설치 CD 또는 DVD 이미지로 부팅하기
- 우분투 데스크탑 설치하기
-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2.3 설치 후 마무리하기
- 우분투 데스크탑 한글 입력 문제 해결하기
- 우분투 서버에서 영문 로케일 설정하기
- 네트워크 설정하기
- 패키지 업그레이드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USB 메모리를 이용해서 우분투 설치하기
3장 우분투 다루기
3.1 시작하기, 종료하기
- 로그인하기
- 로그아웃/시스템 종료하기
- 터미널 사용하기
3.2 사용자 관리하기
- 루트 권한 획득하기
- 사용자 계정 관리하기
- sudo 권한 부여하기
3.3 리눅스 파일 관리하기
- 리눅스 파일
- 파일 정보 확인하기
- 파일 정보의 이해
- 소유권 변경하기
- 접근 권한 변경하기
- 리눅스 시스템 디렉터리
- 파일과 디렉터리 다루기
- 파일 내용 확인하기
- 검색하기
- 파일 이름에 정규 표현식 적용하기
3.4 프로세스 관리하기
- 리눅스 프로세스
- 프로세스 확인하기
- 프로세스 종료하기
- 프로세스를 어디에서 실행하는가?
3.5 패키지 관리하기
- 기본 패키지 관리 명령 dpkg
- apt로 패키지 관리하기
3.6 네트워크 관리하기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다루기
- 라우팅 테이블 다루기
- 연결 상태 진단 도구 ping
- netstat로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3.7 서비스 제어하기
- 리눅스 부팅 과정과 런레벨
-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하기
- 런레벨 제어하기
3.8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 vi 5분 체험하기
- 명령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키
- ex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ex 명령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시스템 관리자의 단짝 친구 셸 스크립트
〈둘째마당〉 리눅스 네트워크 서버 활용하기
4장 가상 시스템 구축하기
4.1 리눅스 가상 시스템이 무엇인가요?
- 가상 시스템이란
- 리눅스 가상 시스템의 구조
4.2 리눅스 가상 시스템 설치하기
- 가상 기술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 패키지 설치하기
4.3 가상 머신 관리자로 게스트 관리하기
- 가상 머신 관리자 설치하기
- 게스트 생성하기
- 가상 머신 관리자로 게스트 관리하기
- 가상 머신 비디오 어댑터 모델 변경하기
- 가상 머신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4.4 텍스트 환경에서 가상 머신 관리하기
- virt-install로 게스트 생성하기
- virsh로 가상 시스템 관리하기
- 게스트 비디오 어댑터 모델 변경하기
- 게스트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virt-clone으로 게스트 복제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실습에 필요한 가상 게스트 준비하기
5장 네트워크 구축 과정 실습하기
5.1 가상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원리 이해하기
- 브리지 연결로 외부와 통신하기
- 가상 네트워크 추가하기
5.2 내부 네트워크 연결하기
- 요구 사항 1. 자료 공유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를 추가해주세요
- 실습에 사용할 게스트 준비하기
- 가상 네트워크 추가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생성하기
5.3 네트워크 확장하기
- 요구 사항 2. 네트워크를 확장하려고 합니다
- 새로운 네트워크 추가하기
5.4 게이트웨이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하기
- 요구 사항 3.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세요
- 게이트웨이로 네트워크 연결하기
5.5 게이트웨이에서 패킷 제어하기
- 요구사항 4.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만들어주시고 외부로부터 보호해주세요
- iptables 다루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우분투 방화벽 ufw로 시스템 보호하기
6장 SSH로 원격 시스템 안전하게 관리하기
6.1 SSH는 무엇이며 왜 등장했습니까?
- 텔넷의 문제
- 보안 셸, SSH
6.2 SSH로 리눅스 시스템 관리하기
- SSH의 패스워드 인증
- SSH 서버 설치하기
- ssh 활용하기
6.3 공개키 인증으로 시스템 보안 유지하기
- 공개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 공개키 인증 사용하기
6.4 에이전트로 개인키 관리를 편리하게!
- ssh-agent를 이용한 공개키 인증 과정
- ssh-agent를 이용해서 여러 SSH 서버 접속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병렬 ssh를 이용해서 여러 시스템에 ssh 명령 전달하기
7장 파일 서버로 자료 공유하기
7.1 자료 공유,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리눅스 환경에서 자료 공유하기
7.2 NFS로 리눅스 시스템끼리 파일 공유하기
- NFS란 무엇인가요?
- NFS 서버 준비하기
- 공유 디렉터리 마운트하기
- 공유 디렉터리 사용자 권한 유지하기
- 공유 디렉터리 자동 마운트하기
7.3 삼바로 윈도 시스템과 파일 공유하기
- 삼바가 무엇인가요?
- 윈도 게스트 준비하기
- 삼바 서버 준비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누구나 사용 가능한 공유 디렉터리 설정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특정 사용자에게 디렉터리 할당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특정 그룹에게 디렉터리 할당하기
- 윈도에서 공유한 폴더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7.4 FTP 서버로 파일 서버 운영하기
- FTP에 대해 알려주세요!
- FTP 서버, vsftp 준비하기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FTP 서버 운영하기
- 특정 사용자를 위한 FTP 서버 운영하기
- 패시브 모드 FTP 서버 운영하기
7.5 SFTP로 보안 유지하기
- SFTP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 SFTP 서버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자동 마운트 활용하기
8장 웹 서버 운영하기
8.1 인터넷 웹 서비스에 대해 알려주세요!
- 웹 서버란 무엇인가요?
- 동적인 웹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버
8.2 웹 서버 준비하기
- 아파치 웹 서버를 소개합니다
- 웹 서버 설치하고 웹 서비스 시작하기
8.3 웹 서비스 운영하기
- 도메인 주소로 웹 서버 접속하기
- 웹 문서에 한글 사용하기
- 사용자마다 웹 사이트 운영하기
8.4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서비스를 다이나믹하게!
- 동적인 웹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프로그래밍 언어
- MySQL, PHP 설치하기
8.5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운영하기
- PHP, MySQL 기반 웹 응용 프로그램,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 워드프레스로 여러 웹 사이트 운영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아파치 가상 호스트 기능을 이용한 워드프레스 웹 사이트 운영
〈셋째마당〉 리눅스 시스템 관리 자동화하기
9장 DHCP와 미리 설정 기능으로 우분투 설치 자동화하기
9.1 우분투 시스템 자동으로 설치하기
- 시스템 자동 설치
- 네트워크 설정을 대신 해주는 DHCP 서버
- 하찮은 TFTP 서버로 간단하게 파일 전송하기
- 시스템 자동 설치 과정
9.2 자동 설치 환경 준비하기
- 자동 설치에 필요한 서버 패키지 설치하기
- 네트워크 부팅 준비하기
9.3 우분투 미리 설정 파일 이해하기
- 미리 설정 파일 준비하기
- 미리 설정 파일 수정하기
- 설치가 끝난 후 추가 자동화를 위한 셸 스크립트 처리
9.4 자동 설치 시작!
- 설치 대상 시스템 준비하기
- 설치를 시작합니다
- 설치가 끝났습니다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자동 설치 문제 해결하기
10장 퍼펫으로 시스템 설정 자동화하기
10.1 퍼펫으로 시스템 관리를 자동화합시다
- 퍼펫이 무엇인가요?
- 퍼펫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는 원리
10.2 퍼펫 준비하기
- 퍼펫 설치하기
- 퍼펫 테스트해보기
10.3 퍼펫을 배워봅시다!
- 매니페스트 작성하기
- 실전! 패키지 설치하기
10.4 퍼펫으로 다른 시스템 제어하기
- 퍼펫 마스터 모드로 실행하기
- 퍼펫 에이전트 인증하기
- 문제가 발생합니다
10.5 퍼펫으로 전체 시스템 관리하기
- vim 편집기로 업그레이드하기
- SSH 공개키 인증 시스템 사용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실무에 퍼펫 도입하기
11장 깃으로 설정 파일 버전 관리하기
11.1 프로젝트 버전 관리 도구 깃, 깃허브
- 깃이란 무엇인가요?
- 깃허브는 또 뭔가요?
11.2 깃 시작하기
- 깃 설치하기
- 파일 추적하고 저장하기
- 파일 수정하기
- 깃 가지치기
11.3 퍼펫 설정 파일 버전 관리하기
- 수정 절차 따라하기
- 작업 되돌리기
- 커밋 복원하기
11.4 버전 관리에 원격 저장소를 사용하기
- 깃허브에 사용자 등록하고 원격 저장소 생성하기
- 수정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전송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깃허브를 이용한 시스템 관리 협업
12장 바쿨라로 시스템 백업 자동화하기
12.1 네트워크 백업 도구 바쿨라
- 바쿨라는 어떤 도구인가요?
12.2 바쿨라 설치하고 기본 설정하기
- 바쿨라 설치하기
- 설정하기 전에
- 디렉터 설정하기
- 스토리지 설정하기
- 파일 데몬 설정하기
12.3 바쿨라 콘솔을 이용하여 백업 복원 테스트하기
- 콘솔 설정하기
- 콘솔에서 통신 상태 확인하기
- 백업 테스트
- 복원 테스트
12.4 실전! 백업하기
- 퍼펫 설정 파일 디렉터리 백업하기
- 원격 시스템 파일 데몬 설정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워드프레스(웹 문서와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똑똑한 시 읽기
- 소문난 LA 맛집 들여다보기
- 명탐정의 탄생
- 말썽꾸러기 벌주기
- 이채원의 가치투자
- 엄마학교에 물어보세요 초등학생편
- High Schoo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자습서 (이찬승) (2017년용)
- 2학년이 꼭 읽어야 할 교과서 동시
- 전국 17명 교육감들과 나눈 교육 대담
- 콘텐츠로 스타 되고 광고로 수익 얻는 YouTube 유튜브
- 위클리 북섹션 창간준비 1호 (2015/08/08)
- 베트남에서 기회를 잡아라
- 땀샘 최진수의 초등 학급운영
- EBS 여름방학생활 초등학교 5학년 (2016년)
- 나펠루스 추기경
- 사람은 왜 그림을 그리고 노래를 부르고 시를 쓸까
- 도쿄 장남매 캐릭터 밥상
- 안네 프랑크의 일기
- 감정 인간
- 손에 잡히는 개념어 상상사전 : 과학
- 순분 씨네 채소 가게
- 김경준의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세트
- 몬스터 대백과
- 수능만만 Start 영어듣기 모의고사 (2017년용)
- 기출의 신 한국사 1400제 근현대편
- 모든 사람을 위한 로마서 1부
- 놓아준 것들 [소설책]
- 빙산이 녹고 있다고? + 하던 대로나 잘 하라고?
- 종현 - 산하엽 : 흘러간
- 열혈강호 57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